지도
화성 융릉과 건릉(융릉∙건릉)
효성으로 빚어진 화려하고 아름다운 왕릉
- 위치
- 경기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
- 왕릉소개
-
· 융릉(隆陵)
· 건릉(健陵)
- 프로그램
- · 왕릉에서 즐기는 주중 특별 문화 강좌 ‘왕릉 아뜰리에’
융릉∙건릉은 추존 장조와 헌경황후 홍씨의 융릉과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황후 김씨의 건릉이 조성되어 있습니다. 정조는 아버지 장조의 무덤을 현 서울 동대문구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겼습니다. 석물을 비롯하여 건축물 등 곳곳에는 정조의 효심을 엿볼 수 있는데 그만큼 정조의 정성이 잘 담겨 있는 곳이 융릉입니다. 정조 역시 세상을 떠난 후 아버지 곁에 묻혀 죽어서도 효를 다하고 있습니다.
왕릉 소개 자세히보기
- ㄱ. 융릉(隆陵)
- 능의 형식: 합장릉
- 능의 조성: 1789년(정조 13), 1816년(순조 16), 1899년(광무 3)
- 융릉은 황제로 추존된 장조(사도세자)와 헌경황후(혜경궁) 홍씨의 능으로 한 봉분 안에 장조와 헌경황후를 같이 모셨다. 장조는 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세상을 떠났다. 이후 사도세자라 불렸고, 정조가 왕위에 오른 후에는 장헌세자라 불렸다. 대한제국 선포 후 1899년 장조로 추존되었다.
- ㄴ. 건릉(健陵)
- 능의 형식: 합장릉
- 능의 조성: 1800년(순조 즉위), 1821년(순조 21)
-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황후 김씨의 능으로 한 봉분 안에 정조와 효의황후를 같이 모셨다. 정조는 재위기간 동안 당파와 신분에 상관없이 능력을 통해 인재를 등용하였고, 규장각을 두어 학문 진흥에 힘썼다. 또 친위부대인 장용영(壯勇營)을 설치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으며 수원 화성을 건축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.
융릉∙건릉 프로그램
왕릉 아뜰리에: 복사꽃 자수 손수건
- 일시
- 10.17.(화) ~ 10.19.(목) 10:00, 13:00, 15:00 / 90분 내외 운영
- 참여인원
- 회차 별 40명 (사전예약 및 현장접수, 1인 최대 4매, 선착순 마감)
찾아 오시는 길

경기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
- 전화
- (031)222-0142
- 대중교통
-
- 1호선 병점역 2번출구 → 34, 34-1, 35-1, 46, 50번 버스 이용 (15분 소요)
- 북문, 남문, 수원역에서 46번 버스 이용 (40분 소요)
- 신영통, 영통, 봉담에서 34, 34-1번 (30분 소요)
※ 버스정류장 명칭 : ‘융릉∙건릉’
- 승용차
-
- 1번국도 병점육교 → 용주사 → 융릉∙건릉
- 신갈IC → 수원시내 진입, 동수원사거리 좌회전 → 병점사거리 우회전 → 병점육교 → 용주사 → 융릉∙건릉
- 동수원IC, 북수원IC → 수원시내 진입, 수원역 지하차도 발안/남양 방면 우회전 → 오목천삼거리 좌회전 → 수영사거리 → 융릉∙건릉
- 산본IC → 과천-봉담 간 고속국도 종점 → 수영사거리 → 융릉∙건릉